사소한 블로그

반응형

 

안녕하세요?

 

요즘 코로나19가 장기화 됨에 따라 영화업계가 정말 많이 힘이 들 것 같습니다. 제작사 같은 경우는 넷플릭스나 다른 판로가 열릴 수도 있기는 하겠지만 영화관의 경우에는 영화를 상영하지 않는다면 정말로 힘이 들 것 같아요. 저는 영화관에서 영화를 보는 것을 좋아해서 늘 CGV VIP를 하기도 했었는데요, 언제 영화관을 갔었는지 이제는 기억도 잘 나지 않습니다. 그러던 중 모가디슈가 정말로 재밌다는 추천을 받고 아마도 마지막으로 영화관에서 본 영화가 바로바로 이 모가디슈 였던 것 같습니다.

 

그랬는데 넷플릭스의 상영예정작을 보니 모가디슈가 내일인 수요일부터 서비스가 되더라고요. 반가운 마음도 있고 해서 오늘은 영화관에서 재미 있게 보았던 영화인 모가디슈를 리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내전으로 고립된 낯선 도시, 모가디슈를 탈출하라

 

영화의 배경은 1991년 소말리아의 수도 모가디슈입니다. 우리가 못 사는 나라라고 하면 늘 떠올리는 곳이 소말리아였던 것 같은데 실제로 1991년 당시에는 꽤 중요한 역할을 하던 나라였습니다. 아직 대한민국이 UN에 가입이 되어 있지 않던 시절, 대한민국이 UN 가입을 하기 위해 꼭 포섭해야 하는 나라가 바로 소말리아였던 것이죠.

 

이러한 배경 속에서 주인공인 한신성 대사(김윤석 배우)와 강대진 참사관(조인성 배우)은 소말리아에서 소말리아 정보를 포섭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하지만 번번이 이들보다 한 발 앞서서 소말리아 정부와 좋은 관계를 맺어가던 나라가 있었으니 그것은 바로 북한! 북한의 림용수 대사 (허준호 배우)와 태준기 참사관 (구교환)은 소말리아와 북한의 좋은 관계를 이용해서 대한민국에 한결 같이 실패를 안겨 주게 됩니다. 이에 분노해서 말 싸움을 하던 그 순간, 모가디슈에서는 일촉즉발의 내전이 일어나게 됩니다. 통신마저 끊기고 본국과의 연락조차 제대로 되지 않는 상황 속에서 대사관 직원들과 가족들은 총알과 포탄이 빗발치는 참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애를 씁니다.

 

그러던 어느날 밤, 북한 대사관에 소말리아 폭도들이 침입을 합니다. 북한과 좋은 관계를 맺어가던 불량배 중 하나가 이들을 배신하고 대사관을 급습한 것이죠. 이에 갈 곳이 없어진 북한 대사관 직원들과 가족들은 살아 남기 위해 부득이 길을 나섭니다. 하지만 길거리에는 폭도들이 장악하고 있었고, 잠시의 실수만으로도 길거리에서 참혹한 죽임을 당할 수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반군들은 정부가 외국인들과 한통속으로 지내고 있다고 믿고 외국인 대사관도 서슴지 않고 폭력을 행사하고 있었던 상황이었기 때문입니다.

 

이에 어렵게 그들이 도달한 곳은 하필 대한민국 대사관 앞.. 림용수 대사는 대한민국 대사관에 인도적 포용을 요청합니다. 하지만 북한에 번번이 골탕을 먹었던 한국 대사들은 이 요구를 거절해 버리고 말죠. 하지만 이내 생각을 바꾸고 되고, 생각을 바꾼 이유는 바로 이들을 귀화시켜서 민족적인 영웅이 되어 보겠다는 심산이었습니다. 당시에는 남과 북이 이념적으로 갈라서서 싸우고 있던 시기이고, 지금보다 훨씬 더 심각한 냉전을 이어가고 있었던 시기였으니까요. 

 

이렇게 서로 불편한 동거를 시작하게 됩니다. 이들이 소말리아를 빠져나갈 수 있는 방법은 각자 우호관계에 있는 대사관을 찾아 도움을 요청하고 비행기편으로 그곳을 빠져나가는 거 뿐이었죠. 하지만 공산주의와 민주주의로 갈라진 세계 속에서 상대 진영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선뜻 나서주는 우방국을 찾기란 쉽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래서 그들은 서로 우방국을 찾아 떠나면서 이렇게 약속을 하죠.

 

"만약 우방국에서 남한, 혹은 북한 중 한 나라에게만 탈출의 기회를 제공한다면... 살 사람은 삽시다"

 

즉, 이념이 다른 나라를 굳이 도와주려고 하지 않을 경우 살 수 있는 나라라도 살자는 의미였죠. 그렇게 그들은 살아남기 위해 다시 또 길거리로 나서게 되면서 영화는 클라이막스로 흘러가게 됩니다.

 

 

뻔한 내용이지만 그래도 재미 있는 스토리

 

누군가는 이렇게 얘기를 합니다. 대한민국에 일본이랑 북한이 없었다면 콘텐츠 시장은 성장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맞죠. 일제시대를 배경으로 한 것과 625를 배경으로 한 영화, 그리고 간첩이나 공비를 주제로 삼은 영화가 정말이지 많으니까요. 이 영화 또한 그 뻔한 스토리 중 하나인 "북한"을 소재로 한 영화입니다. 영화를 보기 전부터 이미 예상은 했었어요. 어려운 상황 속에서 서로 티격태격 하지만 결국은 한 민족이라는 유대를 형성하고 함께 어려움을 헤쳐 나가겠지...

 

맞습니다. 영화는 정확하게도 그렇게 전개 되었고 그렇기 때문에 지루할 수도 있었으나, 소재는 같더라도 배우에 따라 영화는 정말로 크게 차이가 나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김윤석 배우와 허준호 배우, 그리고 떠오르는 배우은 구교준 배우를 보는 맛에 영화는 지루할 틈이 없었습니다. 긴박하게 흘러가는 스토리 속에서도 곳곳에 웃음 포인트가 숨겨져 있고, 일부러 쥐어 짜는 신파극이 아닌 가볍게 콧등이 시큰해 지는 그런 장면들도 과하지 않아 좋았습니다.

 

하지만 마지막 장면에서 북한이 먼저 수송기에서 다 빠져 나가고 난 후에야 비로소 눈조차 마주치지 못하고 남한 인원들이 각자의 차량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볼 때는 뭔가 가슴속에서 뭉클한 무엇인가가 꿈틀거렸습니다. 왜 같은 민족끼리 이렇게 서로를 쳐다보고 웃는 것조차 금기시 되어야 하는 것인지 참 가슴이 아팠습니다.

 

뻔한 스토리이지만 지루할 틈 없이 재미 있었던 영화, 모가디슈였습니다.

내일이면 넷플릭스에서 상영이 되기 시작하니, 이번 주말에는 안 보신 분들은 꼭 보시기를 추천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